본문 바로가기

먹자골목의 손님을 끄는 가게들

낡고 오래된 가게를 '레트로 풍' 이라고 할 수 있을까?

반응형

 

 

낡고 오래된 가게를 '레트로 풍' 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낡은 것 오래된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지난 시절을 추억하게 하고 그리운 사람들을 기억나게 한다. 어릴 적 놀던 골목을 찾아가 보면 그 넓던 골목이 작게 느껴지고 구멍가게의 낡은 모습이 잊었던 유년의 추억을 떠오르게 하면서 한편 가슴이 뭉클해지기도 한다. 

 

 

사진의 슈퍼와 횟집은 분위기만 봐도 오랜 세월 저 자리에서 장사를 한 듯 낡은 간판과 물건들이 지나간 세월을 이야기 하고 있다.

어린시절 저 구멍가게를 들락거렸던 사람은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낡은 아이스크림 통을 보면서 그 시절 아이스크림이 있나 열어보고 싶을 것이고 저 자리에 그대로 가게가 있는 것조차도 감사함을 느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저 거리를 처음 방문한 사람은 와 이런 낡은 구멍가게가 있네라고 그냥 지나쳐 버릴 것이다.

 

특정지역에서 오래 한 가게들은 레트로풍의 가게가 아니라 그냥 낡은 가게로 인식된다.

말그대로 그냥 오래된 것이다.

 

일곱 처녀들은 늙지도 않고 그 자리에 그대로 서있다. 오랜 시간에 하얗던 피부는 누렇게 변해버렸다.

 

레트로와 뉴트로의 구분은 레트로는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하는 복고 문화를 말하는 것이고 뉴트로는 레트로에 더해져서 20대 층이 레트로라는 복고풍을 그 세대에 맞게끔 변화시켜 즐기는 것을 말한다고 이전 편에서 이야기했다..

 

 

멋들어진 '레트로','뉴트로'풍의 가게들

문화 전반에서 '레트로'풍이 대세로 자리잡았다. 먹자골목에도 많은 가게들이 레트로풍의 외장과 인테리어를 하고, 사람들의 시간을 과거로 돌리고 있다. 마치 시간을 넘어온듯 과거의 이미지��

luckysanta.tistory.com

 

레트로’(Retrospect)는 회고, 회고하다, 추억하다, 과거로의 적용 등의 뜻이 있다. ‘()은 사람이 풍기는 분위기나 멋, 한 시대의 유행과 습관, 한 시대나 부류가 독특하게 지니는 문화의 형식이나 양식 등을 말한다.

그러므로 레트로 풍’이라고 하면  과거 시대를 추억하게 하거나 과거로의 적용을 통해 그 시대의 독특한 문화의 형식 등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어떻게 세월이 지난 것들이 과거를 상상하게 하며 소비를 돋우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인가?

세월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면 대부분 그 세월이 익숙한 연령층이 찾아와 소비를 하게 된다. 물론 아버지 세대의 느낌을 경험하고, 그것으로써 어른이라는 느낌을 갖길 원하는 때가 있다. 하지만 누가 궁상맞게 노인네들만 즐비한 가게를 지속적으로 들락거리며 단골이 되겠는가? 

각자의 연령대에 따라 즐기는 유행과 문화가 다르고 모임을 갖는 곳도 달라지기 때문에 가게들은 계속해서 변해가고 있다. 

위의 낡은 가게들도 이미 가진 것들이 과거의 것들이기 때문에 약간의 변화를 주면 충분히 트렌드를 따라갈 수 있다. 오래된 간판은 그대로 쓰더라도 어수선하고 청결해 보이지 않는 것들을 정리하고 입구만 고치더라도 충분히 가능하다.

 

간판을 옛 것 그대로 사용하였다. 지워진 일회용품 이라는 글자와 전화번호가 재미있다.

 

하지만 오래된 대부분의 가게들은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어수선하고 지저분해 보여도 자체로도 멋이 있고 풍미가 있기 때문에 굳이 변화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시대의 트렌드를 주도할 수는 없더라도 그 시대의 유행에 맞도록 약간의 변화를 갖게 되면 많은 것이 변할 수도 있다.

그러면 약간의 화장을 한 것만으로도 오래된 것도 과거를 상상하게 하면서 당장 손님의 연령층부터 변화가 있을 것이고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를 돋우는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가진 것으로 작은 변화를 통해 트렌드에 맞춰간다면 그 얼마나 훌륭한 경영인가?

 

 

반응형